산후 회복, 정부가 든든하게 지원합니다
산후 부담 낮추고 건강한 출산 준비
2025년 산후조리경비 지원 안내
📌 산후조리경비 지원사업이란?
출산 이후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한 회복과 양육 부담 경감을 위해, 일정 금액을 바우처나 현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지자체별로 지원 조건과 형태가 다를 수 있습니다.
1️⃣ 서울시 예시
· 산모 1인당 산후조리경비 바우처 100만 원 지급
· 다태아의 경우 쌍둥이 200만 원, 세쌍둥이 300만 원 지원
· 산모 명의 신용 또는 체크카드에 포인트 형태로 지급
· 출산일 또는 유산·사산 이후 60일 이내 신청 가능
· 바우처는 의약품, 한약, 건강보조식품, 운동 프로그램 등에 사용 가능 (산후조리원 기본료 제외)
2️⃣ 경기도 예시
· 출생아 1인당 50만 원을 지역화폐(카드 또는 모바일)로 지급
· 다태아일 경우 아기 수에 따라 50만 원씩 추가 지원
· 출산 후 12개월 이내 상시 신청 가능
· 지역화폐는 해당 시군 지정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, 사용기간은 지자체별 상이
3️⃣ 성남시 예시
· 가구당 최대 50만 원 지원
· 산후조리원 본인부담금 혹은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사업 본인부담금의 90%를 지원
· 실제 지출한 금액을 기준으로 심사 후 계좌로 지급
· 출산 후 6개월 이내, 보건소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
4️⃣ 인천시 (취약계층 전용)
· 취약계층 산모 대상 산후조리비 150만 원을 인천e음 포인트로 지원
· 수급 가정, 한부모, 다문화 가정, 다태아, 청소년 부모 등 포함
· 2025년 출산자부터 적용
5️⃣ 공통 사항
· 신청 기간은 출산 후 60일~12개월 이내로 지역마다 다르며, 빠른 신청 권장
· 지급 방식은 바우처, 현금, 지역화폐 등 다양
· 산후조리원, 건강관리 서비스, 한약·의약품·운동 프로그램 등 사용처도 지자체마다 차이 있음
6️⃣ Q&A
Q1. 다태아인 경우 얼마나 지원되나요?
→ 예: 서울시는 쌍둥이 200만 원, 세쌍둥이 300만 원으로 차등 지급됩니다.
Q2. 산후조리원 기본이용료에도 사용 가능한가요?
→ 대부분 지자체는 기본 이용료는 제외하고, 체형교정·마사지 같은 부대서비스에만 사용 가능합니다.
Q3. 출산 후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나요?
→ 대체로 출산 후 60일 이내지만, 경기도는 최대 12개월까지 신청 가능합니다.
Q4. 지원금은 바로 계좌로 들어오나요?
→ 지역에 따라 바우처(포인트) 지급 또는 계좌 입금 방식이 다르므로, 각 지자체 공고를 확인하세요.
Q5. 타 지자체 출산도 지원되나요?
→ 대부분은 해당 지자체 주민등록 및 해당 지역에서 출산한 경우에만 지원됩니다.